noframe
Master instrument, noframe

SNS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구글+

최근댓글

업적

바이올린 구입 방법(3)

2019.05.20 15:56 2669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의 악기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보면 연주에서 악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다. 특히 전문 연주자들은 대부분 본인의 소리를 가지고 있어 어떤 악기를 연주하던지 본인이 원하는 소리를 악기에서 끌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과정에서 어떤 악기는 연주자가 조금 더 쉽고 편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그리고 이런 악기를 좋은 악기라고 생각한다. 전문 제작가의 악기와 대량 생산되는 악기의 가장 큰 차이가 바로 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반드시 전문 연주자가 아니더라도 경제적인 여유만 된다면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의 악기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가지 면에서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들의 악기를 구입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한다.

 

이런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의 악기에는 올드 악기부터 현대 악기까지 모든 시대의 악기가 포함된다. 이런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의 악기를 구입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만든 악기인가 하는 것이다. (*참고 바이올린의 종류? 수제악기?)

 

 

이런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들의 악기들은 대부분 고가에 거래 되기 때문에 구입시 여러가지 주의할 점이 따른다. 특히 올드(old) 악기의 경우 보증서라고 불리는 증명 서류와 함께 거래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보증서라는 서류에는 보통 3가지의 내용이 적혀있다. 

첫째는 보증서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인 악기의 제작가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는 악기의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악기의 상태에 대한 내용 그리고 마지막 세번째는 보증서의 악기와 같은 악기인지 확인 할 수 있는 악기의 특징과 치수에 관한 내용이다. (*부가적으로 악기의 사진이 첨부되어 있다.)

 

*간혹 제작가에 대한 내용이 없거나 특정 제작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는 특정 지역 혹은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과 같이 불확실한 내용을 담은 보증서들이 있는데 이런 보증서는 제 역할을 할 수 없는 보증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보증서기 때문에 중요한 점은 누가 발행한 보증서인가 하는 것이다. 보증서를 쓴 사람이 악기 감정 분야에 어느 정도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에 따라 그 보증서의 가치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런 올드 악기를 거래할 때에는 반드시 보증서를 발행한 곳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보증서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에 일련번호로 보증서를 발행한 곳에 보증서 진위 여부를 문의 할 수 있다. 또한 직접 확인이 불가능한 오래 된 보증서만 있는 경우에는 판매자에게 신뢰할만한 새로운 보증서를 요구할 수 있다.

 

현대 악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이런 보증서가 없거나 혹시 있다면 제작가가 직접 발행한 서류인 경우가 많다. 현대 전문 바이올린 제작가 악기의 경우 사용자와의 직거래가 많기 때문에 이런 보증서가 필요없는 경우가 많지만 대부분 구매자가 원하면 제작가가 직접 악기에 대한 증명 서류를 만들어 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본인이 제작한 악기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작가에게 악기의 제작년도, 제작 번호, 악기 사진 등을 보내면 쉽게 진위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악기의 가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악기의 제작가이다. 악기를 구입할 때는 반드시 보증서 등 여러가지 자료를 통해 악기 제작가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고의로 악기 내부에 붙어있는 레이블(Label)을 바꿔치기 하거나 위조하는 경우도 많으니 악기 안쪽의 레이블을 100% 신뢰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메일 로그인

이메일 로그인